●● 성과목표에 대한 자체평가
성과목표 | 자체평가 |
한의학정신건강센터 구축 (홈페이지 제작 1건, 환자 관리 앱 제작 1건) | 홈페이지 제작 완료 홈페이지를 통한 연구 성과(논문, 교육 등) 홍보 (주)디맨드 inMind 어플 사용에 대한 논의 완료 레지스트리 등록환자 관리를 위해 (주)디맨드의 inMind 어플을 사용하기로 하고, 해당 어플의 사용에 대한 타당도 조사를 완료하였음 |
환자등록체계 방법론 기획 (프로토콜 1건, 공청회 1회, 등록기관 6개 이상 모집) | 국내외 선행연구 검토를 통한 환자등록연구 프로토콜 초안 1건을 개발하였으며, 현재 8개의 한의과대학부속 한방병원을 환자등록연구 참여에 대한 동의를 받은 상태임. 프로토콜의 추가 점검을 통해 공청회는 3/25일 진행하였음. 이에 당해연도 성과로 설정한 목표는 달성한 것으로 사료됨. |
정신장애 환자의 한의의료 이용에 대한 경험 및 인식조사 (IRB 승인 1건) | 환자등록연구에서 환자관점의 데이터 수집 문항 검토를 위해 정신장애 환자대상 질적연구를 수행하여 공익적 임상데이터 수집을 하고자 연구추진 내용을 신규추가하여 수행함. 경희대학교 IRB에서 승인을 받아 강동경희대학교한방병원 한방신경정신과, (주)한국리서치의 협조를 받아 4월부터 연구를 진행할 예정임. |
한방 정신장애 진단 환자의 의료이용 현황 조사 연구 기획 (프로토콜 1건) | 보건의료빅데이터를 활용한 정신장애 진단 환자의 의료이용 현황 조사를 간략하게 진행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건보 맞춤형 데이터 분양을 위한 연구 프로토콜 초안 1건을 개발하였음. 이에 당해연도 성과로 설정한 목표는 달성한 것으로 사료됨. |
화병면담검사 및 화병척도 개발에 대한 후속연구 계획 (프로토콜 1건) | ○ 방법론에 있어서의 변동이 발생하였으나 기존의 목표대로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화병 척도 개정을 위한 개념을 도출하였으며 예비 문항을 구성할 예정임(4월 내 진행) ○ 델파이 과정 및 이를 통해 도출된 화병 개념에 대해 국제학회 학술발표 예정(accept, 4월 발표 예정) |
군집분석을 활용한 신규한의평가도구 개발 계획 (프로토콜 1건) | ○ 신규한의평가도구에 포함되어야 할 영역에 대해 한방신경정신과 전문의들과 논의하고 검사를 리뷰함. 이를 통해 다차원적인 종합평가도구로서의 구성안이 도출 ○ 배터리 형식의 검사 구성을 위해 기존의 척도들에 대한 검토 및 새로 개발할 영역에 대해 탐색하며 신규 한의평가도구 기본구조를 확립함 |
기타 | 체계적 문헌고찰 (논문 1건) 2차연도에 정신건강을 위한 한의치료기술 개발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문헌고찰을 수행함. 정신건강의 중요한 요인인 수면건강, 특히 불면증이 있는 노인 환자를 대상으로현재 사용가능한 모든 비약물요법들의 비교 효과성과 안전성을 분석하였음. 그 결과, 침치료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기존 약물치료와 병용하는 것이 노인 불면증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음을 밝힘.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본 과제의 연구개발 목표 중 하나인 ‘정신건강을 위한 한의치료 기술의 개발 및 임상연구’ 진행에 있어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노인의 특성을 감안한 효과적인 한의 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