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

논문·보고서

한의학정신건강센터의 연구성과로 발표된 논문과 보고서를 소개합니다.

2020년 1차년도 연구개발계획서

관리자 2021-01-04 조회수 961

<요약문>

연구 개발 목표

○ 진료 및 임상연구의 거점으로서 한의학 기반으로 정신건강을 관리하고 지속적인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HQ의 역할, 국민 정신건강을 위한 Hub의 역할을 담당하는 한의학 정신건강센터를 수립

○ 대규모 환자 레지스트리 구축과 장기 추적관찰을 통한 질병 특성 및 호전/악화요인 규명

○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활용한 임상현장 질병부담 측정

○ 화병면담검사와 화병척도의 개정 완료와 화병척도의 신의료기술평가 신청

○ 초진단적 정신장애 한의평가도구 개발과 신의료기술 등재

○ 정신건강을 위한 한의치료기술 개발 및 검증, 신의료기술평가 신청

○ 정신건강 평가 및 관리를 위해 IT 기술을 접목한 한의학 정신건강 프로그램 개발

연구 개발 내용

○ 한의학 정신건강센터 구축

- 대한한방신경정신과학회, 전국 한의과대학 부속병원 한방신경정신과 다기관 참여

- 한방신경정신과학 교실, 예방의학 교실, 심리학 교실의 다학제 참여

- 한의학 기반으로 정신건강을 관리하고 지속적인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HQ의 역할, 국민 정신건강을 위한 Hub의 역할을 담당함

- 환자에게 일상에서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의사-환자 쌍방향 네트워크 구축

○ 한국인 화병, 우울증 레지스트리 연구

- 한의학 정신건강센터에서 활용할 환자 레지스트리 툴 개발

- 한의학 정신건강센터의 환자 데이터를 활용한 연구

-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활용한 임상현장 질병부담 측정

○ 초진단적(transdiagnostic) 정신장애 한의평가도구 개발 및 신의료기술 등재

- 화병면담검사 및 화병 척도의 수정 보완

- 한의학 정신건강을 위한 정신장애 스펙트럼에 기반한 초진단적 진단 및 평가 툴의 개발

- 심리학자의 참여를 통한 표준화된 진단 및 평가 도구의 개발과 신의료기술 등재

○ 한의정신요법 개발과 신의료기술 등재 및 IT 기술과 연계한 한의학 프로그램 개발

- 정신건강을 위한 관리 및 치료 프로그램 개발과 신의료기술 등재

- 신의료기술 등재 및 향후 화병, 우울증 임상진료지침 반영

- IT 산업과 연계하여 앱을 활용한 의사-환자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방안 수립

연구 개발 성과

○ 환자 레지스트리 구축 및 대규모 임상연구 수행

- 공식 홈페이지와 등록환자 관리 앱을 활용하여 다기관에서 환자를 등록하고 관리함

- 2021년~2022년 총 2년간 300명 레지스트리 구축 후 2025년까지 장기 추적관찰하여 화병과 우울증의 경과를 관찰하고 악화·호전 요인을 도출하여 향후 환자 관리에 응용함

- 대규모 임상연구를 위한 환자 100여명 모집 목표

- 초진단적 정신장애 한의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를 위해 환자 1,000여명 모집 목표

- 예방의학 교실과의 협조를 통한 데이터 및 질 관리 시행

○ 한의학 개념을 활용한 정신장애 평가도구 개발과 신의료기술 등재

- 화병연구센터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계획 수립

- 한의학 개념을 반영하고, 정신의학의 기존 질병 범주를 보완한 초진단적 관점의 한의평가도구를 최초로 개발하고자 함

○ 정신건강을 위한 한의치료기술 개발과 신의료기술 등재

- 정신건강에 대한 한의학적 강점을 살려서 행동치료에 기반을 둔 한의치료기술을 개발하여 한방정신요법의 범위를 확대할 예정임

- 집단치료와 건강증진사업에도 활용될 수 있는 한의치료기술을 개발할 예정임

○ IT 기술을 활용한 환자 관리 앱과 한의학 정신건강 프로그램(앱)을 개발함

- 의사-환자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관리 앱을 개발하여 진료의 효율성을 극대화함

- 자기 조절을 통해 최적의 상태를 구현함으로써 자기 치유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의학 평가 및 치료도구에 IT 기술을 접목함

활용 계획 및 기대 효과

○ 활용 계획

- 개발되는 정신건강 진단, 평가, 치료 프로그램의 신의료 등록 및 보험 등재를 통한 한의학 진료의 활성화와 한의 진료의 공공성 확보

- 정신건강센터를 통한 한국인 정신건강에 대한 지속적 연구와 환자의 지속적 관리 및 연구 결과의 확산

- 한국 사회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분노로 인한 질병에 대한 한의학을 활용한 해결 방안 제시

- IT 기술을 접목한 프로그램을 통한 한의학 정신건강 프로그램의 4차 산업으로의 진입

- 한의사-환자 커뮤니케이션의 활성화를 유도하여 진료의 효율성과 치료의 효과성을 극대화

- 향후 한의임상진료지침과 CP 개발의 근거자료로 연구 결과 활용

○ 기술적 측면의 기대효과

- ICD 11-TM에서 화병의 연구 결과를 공유하여, 전통의학 기반 진단에서의 체계 확립에 기여

- 한의학 정신건강 센터의 홈페이지와 앱을 통하여 환자의 등록, 관리와 함께 연구 결과의 확산

- 초진단적 한의학 정신건강 평가도구의 개발을 통한 환자의 고통을 기반으로 한 정신장애의 진단 체계 확립

- IT 기술을 접목한 프로그램을 통해 4차 산업으로의 진입

- 의사-환자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환자 관리 앱의 개발

○ 경제적산업적 측면의 기대효과

- ICD 11-TM에서 화병의 연구 결과를 공유하여, 전통의학 기반 진단에서의 체계 확립에 기여

- 한의학 정신건강 센터의 홈페이지와 앱을 통하여 환자의 등록, 관리와 함께 연구 결과의 확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