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MMH

센터소식

1세부 연구자 회의 (대상: 1세부 전국한의과대학 한방신경정신과 교수진)

관리자 2020-10-16 조회수 414

1세부 연구자 회의 (대상: 1세부 전국한의과대학 한방신경정신과 교수진) 


회의 개요

회 의 명 : <한의학 정신건강센터의 구축과 정신건강 진단·평가·치료기술의 개발 및 실용화> 1차 연구자 회의

목 적 : <한의학 정신건강센터의 구축과 정신건강 진단·평가·치료기술의 개발 및 실용화> 과제의 연구방향 설정 및 연구 실무를 위한 논의

일 시 : 20201016() 18:00~21:00

장 소 : 대전 소재 애트 (대전 중구 대전천서로 467-1 1)

참 석 자 : 14

 

 

참석자

내부(12)

경희대학교 김종우, 정선용, 서효원, 홍성규, 동신대학교 김경옥, 대구한의대 김상호, 대전대천안 정진형, 부산대학교 김보경, 상지대학교 서진우, ()디맨드 김광순, 동의대학교 권찬영(화상참석), 부산대학교 임정화(화상참석)

외부(2)

대전대학교 정인철, 원광대학교 강형원

 

 

 

회의 상세

전체 연구의 개요

- 가능하면 참여자 패널을 활용하여 다양한 연구 진행

 

○ 레지스트리 연구

1. 모집 대상자

- 화병, 우울증, 불안장애(공황장애, 범불안장애), 스트레스장애(PTSD, ASD)

초진단적 분류도 고려해야 함

목표 대상자 수: 300

 

2. 방문 횟수

- Baseline, 심리평가도구 재평가 시기, 6개월, 1, 2, 3

 

고민해야 하는 내용: 연구 목적

자연사 관찰

- 환자의 증상과 양상에 대한 기록

- 치료를 받을 생각이 없는 사람의 경과 관찰

 

치료 관찰: 치료를 받을 사람 모집

- 환자의 진료 형태에 대한 기록

- 환자의 치료 반응과 효과를 점검할 수 있음

 

비교: 자연사 관찰군과 비교

- 화병은 '치료해도 소용없다'는 인식이 많은데, 과연 그런지?

- 자연사 관찰군과 비교해서 치료 관찰군은 얼마 만에 경감되는지 등

 

참여자 benefit으로서 어플 활용의 문제

- 환자의 앱 활용에 대한 실태

- 앱의 효과를 점검하고 개발될 앱에 대한 내용을 기획하는 데 기여

 

○ 화병척도의 개정 절차

1. 질병/증상의 개념 (기존 도구와 연구 활용)

자료의 범위: 진단기준, 심리평가도구, 전문가 경험, 환자 경험

우리가 측정할 질병의 개념 합의: 화병은 이질적인가? 동질적인가?

증상의 차원/심각도를 고려

 

[참고] 한국형 역기능우울척도의 하위모듈

기본 도구와 이질성을 평가하기 위한 하위모듈 도구

 

 

2. 문항 분석 과정 (환자 대상으로 실시 X)

- 환자 대상 질적연구

- 예비문항 작성

- 예비문항의 적절성 평가

- 전문가와 준전문가를 대상으로 예비검사

. 환자에 빙의하도록 ㅎㅎ

. Severity에 따라 몇 단계로 나누어야 하는가? 필요하다면 시행

. 기존 도구와의 관련성 검증

- 정신과 전문의, 레지던트 등 대상 탐색적 예비분석 => 본 검사 문항 도출

 

3. 타당화

- 최종 문항 결정

 

고민해야 하는 내용

- 인구 규준, 젠더 이슈

- 기존 화병척도를 얼마나 살릴 것인가?

화병의 이질성을 평가하기 위해 다차원적으로 개발할 것인가?

- 용도 목적: 진단, 전후 평가, 심각도 단계의 구분

활용: 심플하게? 복잡하게? 누가, 몇 번이나 검사할 것인지? (다차원은 실제로 좋은가?)

 

○ 신규한의평가도구 개발

 

[참고] MMPI 업데이트

다차원적 임상척도

- MMPI-1; 경험적 개발 방법, 환자의 저항을 피해서 검사를 수행하기에는 강점이 있다.

- MMPI-2: 기존 임상척도를 유지, 추가척도 개발(경험적+이론적 하이브리드 방식)

 

[참고] TCI

소인과 기질 영역의 평가

임상적으로 치료 행위에 의미를 가질 수 있는 정보들이 무엇인가? (. 자신이 주도적으로, 분석적으로 치료하기를 선호하는 사람 vs. 치료자, 약물에 의존적인 사람)

 

고민해야 하는 내용

- 인구 규준

- 선행조사

. 한의사들이 환자에게 묻는 질문들을 수집하여 검토

. 한의학의 이론에 근거한 질문들을 수집하여 검토 (. 팔강변증 등에 대한 검토)

- 용도: 심플하게? 복잡하게? 누가, 몇 번이나 검사할 것인지? (다차원은 실제로 좋은가?)

- 타당도 척도의 필요성

. 환자를 면밀히 관찰할 수 있다면, 타당도 척도가 굳이 필요하지 않다.

. 문항이 매우 많아야 (최소 200문항) 타당도 척도를 만들 수 있다


 

■ Action plan

​1. 신규 한의심리평가도구의 필요한 도메인 확정

2. 레지스트리 연구목적 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