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칼럼

논문리뷰

한의학정신건강센터의 연구자들이 직접 흥미로운 논문을 선정하여 소개해드리는 공간입니다.
한의학정신건강센터 Journal Review
2023-01-13


1. 일기법을 이용한 심리학 연구의 최근 동향과 전망

 제목

 일기법을 이용한 심리학 연구의 최근 동향과 전망. 장승민.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011, 30.3: 677-706.

 발제자

 박희영 연구원

 연구 목적

 1. 일기연구법의 발전과정과 현대적 일기법의 특징을 소개하고 해외 연구 동향과 국내 적용 상황을 검토함

 2. 일기연구법의 미래와 가능성을 전망하고 일기연구 수행에 필요한 고려사항들을 제안함

 연구 결과

 1. 일기법 : 연구 참가자에게 자신이 하루 혹은 몇 시간 동안 경험한 일상에 대해 일회 혹은 수회에 걸쳐 기록하게 하는 방법

 2. 목적 : 실험이나 회상을 통해 얻기 어려운 일상적인 심리-행동적 경험과 그것의 변화를 수집하고 탐색하기 위함

 3. 장점 : 연구대상이 실제 경험하는 일상을 기록하고 분석한다는 점에서 연구 결과의 생태적 타당성 확보가능

               응답자가 평가해야 하는 자기 경험에 대한 회상 기간이 짧다는 점에서 기억의 오류나 회상편중에 상대적으로 덜 영향을 받을 수 있음

 4. 전통적 일기법 : 

     ① 실제 의도된 시간에 작성된 것인지 확인이 어려움 (몰아쓰기)

     ② 하루 동안의 경험을 떠올리는 것 또한 회상편향이 존재할 수 있으며 주로 자기보고식 설문에 한정됨

     ③ 수집된 자료의 분석이 어려움 (개인 내 유사성, 자기상관)

5. 단점 보완

    ① 휴대용 단말기, 자동화된 기록장치를 통해 참가자의 현재 경험 기록 가능 -> 높은 생태학적 타당도, 낮은 회상편증, 사후기입 예방, 응답준수율 확인 가능

    ② 통계모형의 발전(다층모형, 상태공간모형 등) -> 여러 참가자들로부터 얻은 많은 수의 반복 측정치들이 구성하는 방대하고 복잡한 자료를 분석할 수 있음

    => 현대화된 일기법을 생태순간평가(ecological momentary assessment: EMA)라 지칭하기도 함(Stone & Shiffman, 1994; Shiffman & Stone, 1998) 

          (⇔ 경험표집법, 보행식 평가)

 시사점

 1. 일기법은 심리학에서 개인의 경험 측정에 대한 생태학적 타당도를 높이고자 실시하던 방법론임

 2. 센터 연구에서 일기법을 다음과 같은 연구주제로 적용하는 것을 제안함

     ① 한의학의 효과가 일상적 경험에서는 잘 드러나지 않을까? (전인적 효과)

     ② 기질(=성격)에 따른 일상 경험 개인차 연구?

     ③ 앱(예. in mind)을 활용한 일상 경험 수집, 분석 연구

 논의

 - 일기법을 활용한 최근 연구가 있는지

 -  KMMH case 연구 시 연구방법으로 활용 가능(병원 일지 등)


2. Treatment for anxiety: Mindfulness meditation versus escitalopram (TAME): Design of a randomized, controlled non-inferiority trial

 제목

 Hoge EA, Bui E, Mete M, Philip SR, Gabriel C, Ward MJ, Suzuki R, Dutton MA, Simon NM. Treatment for anxiety: Mindfulness meditation versus escitalopram (TAME): Design of a randomized, controlled non-inferiority trial. Contemp Clin Trials. 2020 Apr;91:105965.

 발제자

 이현우 전공의

 출처

 권찬영 동의대 한의학과 교수 블로그_[불안] 불안장애에 대하여 마음챙김 명상은 약.. : 네이버블로그 (naver.com) 

 연구 목적

 불안장애 환자 대상 마음챙김 명상과 SSRI 계열의 항우울제인 escitalopram (브랜드명: Lexapro, Cipralex)을 효과를 비교

 연구 방법

 - 18-75세 불안장애 환자 대상 무작위 대조군 임상시험 실시

 - 8주간 MBSR vs. escitalopram 

 연구 결과

 - 두 집단 모두 불안 지수 감소 + 집단 간 유의한 차이X

 - 이상반응률은 escitalopram에서 현저히 높음 : MBSR군(15.4%) < escitalopram 군(78.6%)

 시사점

 - 효과 뿐 아니라, 탈락률이나 이상반응 발생에서도 볼 수 있듯이, MBSR은 약물치료보다 참여 지속률도 높고, 이상반응 발생 위험이 낮아, 

   기존 약물치료의 단점과 비교되는 장점이 있음

 - 국내의 바쁜 임상현장에서 MBSR 도입  가능성의 한계

 논의

 - 한의원 임상 장면에 침이나 약에 국한될 필요 없음

 - 한의원에서 명상, 교육 시설 등을 구축하여 치료 프로그램 실시 가능


3. The psychology of Qi Gong: A qualitative study. Complementary health practice review

 제목

  The psychology of Qi Gong: A qualitative study. Complementary health practice review, Posadzki, P. (2010). 15(2), 84-97. DOI: 10.1177/1533210110387019

 발제자

 윤석인 연구원

 연구 목적

 현상학적 관점에서 기공 수련가들의 기공 수련 경험 및 심리적 상태를 탐색하는 것

 연구 방법

 기공 수련가들의 수련 경험 및 태도에 대한 반구조화된 포커스 그룹 인터뷰

 연구 대상

  3년 이상의 기공 수련경력을 갖고 있는 18세에서 74세 사이의 참가자(영어 가능자, 유럽계 백인)

 연구 결과

   기공 수련가들은 다양한 생리적, 심리적, 영적/에너지 상태를 경험한다.


 1. 기공 수련가들은 에너지의 흐름을 신체적인 감각으로 경험한다.

 1-1. 신체적인 감각으로 에너지를 경험하기 위해서는 평정과 이완이 필요하다.


 2. 기공은 주의 및 알아차림 능력을 향상시킨다.

 2-1. 기공 훈련 후에 에너지를 쉽게 구별하고 인식할 수 있게 된다.

 2-2. 에너지를 경험한 이후에, 에너지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이게 된다.

 2-3. 숙달되면, 기공 동작에 대한 세밀한 알아차림이 가능해진다.

 2-4. 기억력 등 전반적인 인지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3. 기공은 심신의 긍정적인 상태를 유도한다.

 3-1. 기공은 이완, 고요, 평정 상태를 유도한다.

 3-1. 기공은 진정한 즐거움, 행복, 만족감을 유도한다.

 시사점 

  1. 침, 기공, 명상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or mixed method 연구

  2. 기공, 명상, 요가 등 심신훈련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의 체계적 종합 연구 (Qualitative Systematic Review)

 논의

 - 한의사, 기수련자 등 수련-based 의료인 대상 실시

 - 기공 수련에 대한 경험에 관한 연구 가능 + 이를 토대로 기공 프로그램, 척도 개발 연구 진행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