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일기법을 이용한 심리학 연구의 최근 동향과 전망. 장승민.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011, 30.3: 677-706. |
발제자 |
박희영 연구원 |
연구 목적 |
1. 일기연구법의 발전과정과 현대적 일기법의 특징을 소개하고 해외 연구 동향과 국내 적용 상황을 검토함 2. 일기연구법의 미래와 가능성을 전망하고 일기연구 수행에 필요한 고려사항들을 제안함 |
연구 결과 |
1. 일기법 : 연구 참가자에게 자신이 하루 혹은 몇 시간 동안 경험한 일상에 대해 일회 혹은 수회에 걸쳐 기록하게 하는 방법 2. 목적 : 실험이나 회상을 통해 얻기 어려운 일상적인 심리-행동적 경험과 그것의 변화를 수집하고 탐색하기 위함 3. 장점 : 연구대상이 실제 경험하는 일상을 기록하고 분석한다는 점에서 연구 결과의 생태적 타당성 확보가능 응답자가 평가해야 하는 자기 경험에 대한 회상 기간이 짧다는 점에서 기억의 오류나 회상편중에 상대적으로 덜 영향을 받을 수 있음 4. 전통적 일기법 : ① 실제 의도된 시간에 작성된 것인지 확인이 어려움 (몰아쓰기) ② 하루 동안의 경험을 떠올리는 것 또한 회상편향이 존재할 수 있으며 주로 자기보고식 설문에 한정됨 ③ 수집된 자료의 분석이 어려움 (개인 내 유사성, 자기상관) 5. 단점 보완 ① 휴대용 단말기, 자동화된 기록장치를 통해 참가자의 현재 경험 기록 가능 -> 높은 생태학적 타당도, 낮은 회상편증, 사후기입 예방, 응답준수율 확인 가능 ② 통계모형의 발전(다층모형, 상태공간모형 등) -> 여러 참가자들로부터 얻은 많은 수의 반복 측정치들이 구성하는 방대하고 복잡한 자료를 분석할 수 있음 => 현대화된 일기법을 생태순간평가(ecological momentary assessment: EMA)라 지칭하기도 함(Stone & Shiffman, 1994; Shiffman & Stone, 1998) (⇔ 경험표집법, 보행식 평가) |
시사점 |
1. 일기법은 심리학에서 개인의 경험 측정에 대한 생태학적 타당도를 높이고자 실시하던 방법론임 2. 센터 연구에서 일기법을 다음과 같은 연구주제로 적용하는 것을 제안함 ① 한의학의 효과가 일상적 경험에서는 잘 드러나지 않을까? (전인적 효과) ② 기질(=성격)에 따른 일상 경험 개인차 연구? ③ 앱(예. in mind)을 활용한 일상 경험 수집, 분석 연구 |
논의 |
- 일기법을 활용한 최근 연구가 있는지 - KMMH case 연구 시 연구방법으로 활용 가능(병원 일지 등) |
2. Treatment for anxiety: Mindfulness meditation versus escitalopram (TAME): Design of a randomized, controlled non-inferiority trial
제목 |
Hoge EA, Bui E, Mete M, Philip SR, Gabriel C, Ward MJ, Suzuki R, Dutton MA, Simon NM. Treatment for anxiety: Mindfulness meditation versus escitalopram (TAME): Design of a randomized, controlled non-inferiority trial. Contemp Clin Trials. 2020 Apr;91:105965. |
발제자 |
이현우 전공의 |
출처 | 권찬영 동의대 한의학과 교수 블로그_[불안] 불안장애에 대하여 마음챙김 명상은 약.. : 네이버블로그 (naver.com) |
연구 목적 |
불안장애 환자 대상 마음챙김 명상과 SSRI 계열의 항우울제인 escitalopram (브랜드명: Lexapro, Cipralex)을 효과를 비교 |
연구 방법 | - 18-75세 불안장애 환자 대상 무작위 대조군 임상시험 실시 - 8주간 MBSR vs. escitalopram |
연구 결과 |
- 두 집단 모두 불안 지수 감소 + 집단 간 유의한 차이X - 이상반응률은 escitalopram에서 현저히 높음 : MBSR군(15.4%) < escitalopram 군(78.6%) |
시사점 |
- 효과 뿐 아니라, 탈락률이나 이상반응 발생에서도 볼 수 있듯이, MBSR은 약물치료보다 참여 지속률도 높고, 이상반응 발생 위험이 낮아, 기존 약물치료의 단점과 비교되는 장점이 있음 - 국내의 바쁜 임상현장에서 MBSR 도입 가능성의 한계 |
논의 |
- 한의원 임상 장면에 침이나 약에 국한될 필요 없음 - 한의원에서 명상, 교육 시설 등을 구축하여 치료 프로그램 실시 가능 |
3. The psychology of Qi Gong: A qualitative study. Complementary health practice review
제목 |
The psychology of Qi Gong: A qualitative study. Complementary health practice review, Posadzki, P. (2010). 15(2), 84-97. DOI: 10.1177/1533210110387019 |
발제자 |
윤석인 연구원 |
연구 목적 |
현상학적 관점에서 기공 수련가들의 기공 수련 경험 및 심리적 상태를 탐색하는 것 |
연구 방법 |
기공 수련가들의 수련 경험 및 태도에 대한 반구조화된 포커스 그룹 인터뷰 |
연구 대상 |
3년 이상의 기공 수련경력을 갖고 있는 18세에서 74세 사이의 참가자(영어 가능자, 유럽계 백인) |
연구 결과 | 기공 수련가들은 다양한 생리적, 심리적, 영적/에너지 상태를 경험한다. 1. 기공 수련가들은 에너지의 흐름을 신체적인 감각으로 경험한다. 1-1. 신체적인 감각으로 에너지를 경험하기 위해서는 평정과 이완이 필요하다. 2. 기공은 주의 및 알아차림 능력을 향상시킨다. 2-1. 기공 훈련 후에 에너지를 쉽게 구별하고 인식할 수 있게 된다. 2-2. 에너지를 경험한 이후에, 에너지에 더 많은 주의를 기울이게 된다. 2-3. 숙달되면, 기공 동작에 대한 세밀한 알아차림이 가능해진다. 2-4. 기억력 등 전반적인 인지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3. 기공은 심신의 긍정적인 상태를 유도한다. 3-1. 기공은 이완, 고요, 평정 상태를 유도한다. 3-1. 기공은 진정한 즐거움, 행복, 만족감을 유도한다. |
시사점 |
1. 침, 기공, 명상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or mixed method 연구 2. 기공, 명상, 요가 등 심신훈련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의 체계적 종합 연구 (Qualitative Systematic Review) |
논의 | - 한의사, 기수련자 등 수련-based 의료인 대상 실시 - 기공 수련에 대한 경험에 관한 연구 가능 + 이를 토대로 기공 프로그램, 척도 개발 연구 진행 가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