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교육

자료실

한의학정신건강센터에서 교육을 진행한 뒤 자료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2021년 2월] KMMH 정신건강세미나 2차: 한의 평가 도구 개발

관리자 2021-02-04 조회수 2,048
 교육 내용
- 일시: 2021.02.04(금) 17:30~19:30 (ZOOM을 활용한 온라인 교육)
- 주제: 한의 평가 도구 개발(KS-15, 한열설문, 미병설문을 중심으로)
- 강사: 이시우 / 한국한의학연구원

 목차
 0. 개발된 평가도구
 1. 체질 설문(KS-15)의 개발
  (1) 체질진단 도구 개발 계획
  (2) KS-15 개발 과정
  (3) 문항 개발 
  (4) KS-15 검증
  (5) KS-15 활용
 2. 한열 설문의 개발
  (1) 한열 설문지 개발 과정(A)
  (2) 한열 설문지 개발 과정(B)
 3. 미병 설문의 개발
  (1) 미병 개념의 정리
  (2) 미병 설문 개발 과정



한의 평가 도구 개발 

​0. 개발된 평가도구
. 단축형 사상체질 진단설문지(KS-15) 
. 한열변증설문지 
. 최적화 한열설문지 
. 평소증상 기반 한열변증설문지 
. 이상증상 기반 미병 분류도구 
. 허울 설문지 

​1. 체질 설문(KS-15)의 개발 

 

(1) 체질진단 도구 개발 계획
. Gold Standard(활용된 Data) 
- 경력 5년 이상의 90% 이상 사상처방을 활용하는 사상체질 전문가, 
- 피험자의 4회 이상 방문, 
- 동일한 체질 처방의 60첩 이상의 복약
- 주증과 소증이 개선된 의무기록만을 분석

(2) KS-15 개발과정
- 5차년도까지의 과정동안 전국의 여러 대학 / 한방병원 및 협력 한의원 그리고 양방병원과 해외 의과대학까지 참가한 다기관 임상연구 네트워크 및 한의임상정보은행(KDC)를 구축
- 3,711명의 증례가 수집
- eCRF( http://ecrf.kiom.re.kr)를 통해 다기관 연구 협력기관에서 수집한 자료를 웹기반 한의학연구원 DB서버에 자동으로 저장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활용 
29개의 연구협력기관에서 수집된 설문자료, 안면사진, 음성 등 체질임상정보를 DB로 구축하여 기본정보조회, 임상정보에 대한 다중검색, 체질임상자료의 성별 및 체질별 구축현황 실시
  간 확인, 세부항목에 대한 검색조건 선택 등으로 활용
증례 수준은 기관 모니터링, 연구 실무자 교육, 전문가 자문회의 등을 통해 관리

(3) 문항 개발 
. 과기부 체질과제의 CRF를 활용하여 체형, 성격, 소증의 3요소로 구성 
- 성격 15문항
- DISC기반 15문항
- 소증 39문항
- 병증 12문항
- 질병력
- 부인과 설문
- 삶의 질(SF12)
한의사의 진단값과 의무기록을 참값으로 활용 
해당체질의 특성 파악을 위해 '체질/비체질'을 비교

 총 15문항
- 성격 6문항
- 소증 8문항
- BMI 관련 1문항
. 3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 
. 가중치를 기반으로 설문결과에 따라 성별 TE(태양), SE(소음), SY(소양)의 체질점수를 얻을 수 있고 여기에 BMI 1개를 이용한 회귀식에 넣어 체질 예측확률을 산출, 가장 높은 확률값을 해당 체질로 분류



 

(4) KS-15 검증3)
. 일치율 
- 훈련집단
Overall 58.3%, 태음인 72.8%, 소음인 54.8%, 소양인 44.1%

테스트 집단( 222증례, 전문가 값을 참값으로 설정)
Overall 63.1%, 태음인 63%, 소음인 83.3%, 소양인 27.8% 

(5) KS-15 활용
 연구원에서는 KS-15 진단 설문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웹기반 체질진단 시스템을 구축해 놓았다. (웹사이트를 통한 제공 / 무료 /  한의사 개인 사용)

2. 한열 설문의 개발

(1) 한열 설문지 개발 과정(A)4)
문항개발 
. 한방병리학, 한방진단학, 예방한의학 석사이상 또는 한의전문의 8인으로 구성된 전문가 위원회를 조직하여 황제내경, 상한론, 경악전서, 의학심오 및 교과서 등의 문헌을 참고하여 한열 
  변증의 주요 증상을 선정
통계전문가와의 협력 및 일반인 의견도 참조하여 문항 요건 구성

본조사 
. 79명에 대해 간호사가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한의사는 설문 참고없이 한열진단

타당도 
​. 신뢰도 - 경우 내적 일관성(Chronbach-α)이 한증 0.605, 열증 0.722
. 정확도 - 경우 Overall 94%, 한증 89.3%, 열증 100%

(2) 한열 설문지 개발 과정(B)5) 6)
문항개발
. ​선행연구 한열설문지의 문항을 활용
내외부 전문가 회의를 통해 한열문항에 대해 논의하여 문항 조정
설문 초안은 한증 11문항, 열증 12문항 및 4점 척도로 설정

한열 설문 자료 수집 및 항목분석
후보 설문문항 간 내적 신뢰도는 크론박 알파(Cronbach’s Alpha)계수로 평가하여 신뢰도가 떨어지는 항목을 삭제
최종 선정된 문항을 대상으로 검사-재검사를 수행
표준 중위수 기준으로 한열을 판단하여 유한, 무한, 유열, 무열의 조합으로서 한증, 열증, 한열착잡, 무한무열로 판별

타당도
. ​120명의 D대학교 근무자를 대상으로 전문가 2인이 설문을 참고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한열진단
. 한증/비한증: 한증 설문의 AUC 0.884, 전문가 진단과 82.8%일치
. 열증/비열증: 열증 설문의 AUC 0.786, 전문가 진단과 72.9%일치

3. 미병 설문의 개발

(1) 미병 개념의 정리
델파이조사7)
. 14명의 한의사에게 2라운드에 걸쳐 진행

전문가 의견 취합8) 
. 2013.4~2013.5, 818명의 한의사 대상
. 아형: 피로, 통증, 소화불량, 검사이상치, 수면이상
. 변증: 기허, 간기울결, 기울, 허증, 담, 음허, 혈허

정의 
. 이상증상으로 일상생활의 불편함을 겪거나, 회복력이 저하된 상태
. 현존하는 질병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거나 알려진 질병이 없는 상태
- 이상증상 : 건강의 저하로 표출되는 증상들은 피로, 통증, 수면장애, 소화불량, 불안, 우울, 분노 등 매우 다양함(중국 아건강임상지남 27개 증상 정리 / 한국갤럽-KIOM)
- 일상생활 : 업무, 공부, 가사일, 여가활동 등 흔히 매일 행하는 것들 / 일정기간(3일, 7일) 동안 해소되지 않는 이상증상을 호소하는 것
- 회복력 : 생식충보지도, 정기존내 사불가간 등

(2) 미병 설문 개발 과정
문항개발 
. 선행연구와 전문가 자문을 거쳐 항목 선정
. 피로, 통증, 수면이상, 소화불량, 불안, 분노, 우울의 7개 증상유형 정리
. 개별증상의 정도, 지속기간, 회복력을 각각 7점 척도로 기록

 
한국갤럽-KIOM 설문
. 지역, 성별, 연령별 다단계 층화추출 1,100명의 19세 이상 성인표본
. KIOM의 교육을 받은 갤럽의 전문조사원이 각 가정 방문, 대면설문
 
신뢰도/타당도 평가9)
. 신뢰도 평가 
- 증상유형별 미병점수를 이용하여 내적일관성을 분석
- 전체적으로 Cronbach’s Alpha 값은 0.88

. 타당도 평가
미병점수와 SF-12의 PCS, MCS, EQ-5D VAS 점수와의 상관관계 분석 시행
EQ-5D VAS와 중등도의 음의 상관관계(r=-0.493)
- PCS와 MCS와 각각 중등도의 음의 상관관계(r=–0.479, -0.468)

검사/재검사10)
- 165명 대상 시행

. 신뢰도 평가 - 크론박 알파, 전체 0.913
- 피로 : 0.882
- 통증 : 0.937
- 수면장애 : 0.937
- 소화장애 : 0.918
- 우울 : 0.931
- 분노 : 0.857
- 불안 : 0.929

. 타당도 평가 - 급내상관계수 평가
- 피로 : 0.713
- 통증 : 0.831
- 수면장애 : 0.832
- 소화장애 : 0.788
- 우울 :0.818
- 분노 :0.666
- 불안 : 0.812

**참고문헌
​1. 백영화 등, 사상체질 전문가의 체질진단 일치도 및 타당도 평가, 2014, 사상체질의학회지
2. Jin HJ et al, Constitutional multicenter bank linked to Sasang constitutional phenotype, 2015, BMC CAM
3. 백영화 등, 체형 성격 소증 기반 단축형 사상체질 진단설문지 개발 및 타당도 연구, 2015, 사상체질의학회지
4. 유현희 등, 한열 변증 설문지 개발에 관한 연구, 2008, 동의생리병리학회지
5. 여민경 등, 건강증진을 위한 평소증상 기반의 한열변증 설문지 개발, 2016, 동의생리병리학회지
6. 배광호 등, 평소 증상 한열변증 설문지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2018, 동의생리병리학회지
7. JC Lee et al, The Concept of Mibyeong in Korea: A Delphi Study, 2013, Eujim
8. JC Lee et al, Recognition of and interventions for Mibyeong in South Korea, 2014, IMR
9. 이영섭 등, 이상증상 기반 미병 분류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2016, 대한예방한의학회지
10. 장은수 등, 증상정도 기간 불편정도 및 회복력 기반 미병 설문지의 신뢰도 및 구성타당도 평가, 2017, 대한예방한의학회지